출처 URL
http://bbs.ruliweb.com/game/81920/board/read/7532190
Gameplay Settings(게임플레이 세팅)
Difficulty - 난이도입니다. 올스타가 중간정도의 난이도이고 그 위로 슈퍼스타,홀 오브 페임 등이 있습니다.
Quarter Length - 1쿼터의 길이입니다. 다양하게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.
Fatigue - 선수의 피로도입니다. 이 항목을 끄면 선수의 체력이 닳지않게 됩니다.
Injuries - 선수의 부상입니다. 이 항목을 끄면 인게임도중 선수가 부상을 당하지 않게 됩니다.
Shooting Type - 슈팅타입입니다. 유저의 스틱조작이 슛의 성공률에 큰 기여를 하게 될지 선수의 능력치와 스탯에 기반을 둔 성공률을 보일지에 대한 결정입니다.
절대적인 케이스가 아닙니다. 유저 타이밍이라고 좋은 릴리즈에 100%의 성공률을 보이지는 않으며, real player%라고 해서 대충 릴리즈하면 된다는 것이 아니예요.
FT Shooting Type - 내용은 위와 같으며 프리드로우를 던질시의 스탯베이스인지 스틱타이밍 베이스인지를 결정하는 항목입니다.
Shot Meter - 선수의 하단원에서 샷미터(타이밍을 맞추는 게이지)를 켜고 끄는 옵션입니다.
Shot Feedback - 게임화면의 우측상단에 샷 타이밍이 좋았는지 별로였는지 메세지로 피드백을 해주는 옵션입니다.
Rythym Icons - 선수의 하단원에 이 선수가 현재 핫한지 콜드한지 나타내주는 옵션입니다. 통상원이 붉은색이면 핫한 상태...파란색이면 현재 콜드한 상태입니다.
Pick and Roll Overlay - 픽앤롤을 구사할때 선수의 머리위에 PICK, ROLL, FADE의 문자가 표시될지 안될지에 대한 옵션.
Game Speed - 전체적인 게임스피드에 대한 설정입니다. 2k게임에서 게임의 스피드 밸런스는 바로 이 항목과 슬라이더 항목에서 퀵니스와 플레이어 스피드 부분. 이렇게 3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. 이 스피드가 낮아지면 선수의 전체 움직임, 패스의 속도등이 낮아집니다.(시간이 늦어지는 효과가 아닙니다.)
Free Throw Difficulty - 자유투의 난이도. 수치가 높아질수록 자유투 난이도가 높아집니다.
Controller Settings(컨트롤러 세팅)
Defensive Assist Strength - 수비 어시스트 강도입니다. 이번 패치후에 50이 디폴트값으로 변경되었습니다. L2(LT)를 눌렀을때 상대 공격수를 락시키는 강도입니다. 너무 높이면 수비가 박진감이 없어집니다. 너무 낮추면 상대선수를 락을 시키지를 못해 쉽게 벗겨집니다.
Boxout Assist Strength - 이번작에 새로생긴 박스아웃 몸싸움 강도도움입니다. 통상적으로 50에 놓고 진행을 합니다.
Automatic Shot Contest - 슛을 컨테스트(통상적인 블락 혹은 상대슛을 방해하는 동작)함에 있어서 수동으로 할지 자동으로 할지 최대한 컨테스트하려고 노력할지에 대한 결정입니다. 오픈찬스시에 always가 되어있다면 가장 가까이 있는 AI가 다가가서 블락을 자동으로 뜰 것입니다. 이게 미치는 영향은 바로 골밑에서인데요. 골밑에서 수비를 하고 있는 수비수를 유저가 조종하고 있지 않을 시, 컴이 포스트업을 해서 슛을 쏠때 자동으로 컨테스트를 하기 때문에 골밑 파울등이 날 확률이 높아집니다.
*이제부터 슬리이더 항목입니다. 이 포인트는 100이 100%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. 퍼센테이지율이 아닌 빈도에 대한 포인트값일 뿐입니다.
*슬라이더값은 단일 항목에서 위력을 발휘하는 것은 거의 없습니다. 통상적으로 연관있는 슬라이더가 2-3항목이 있으며 그 항목들이 유기적으로 물렸을때 좋은 효과가 나는 것입니다. 예를들어 슛 성공률 슬라이더 항목에서는 수비의 강도나 컨테스트의 정도에 따라 성공률이 달라지므로 단일 항목에서 40이라고 되어있다고 40%의 성공률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는 얘기입니다.
Offense (User/CPU)(공격 슬라이더)
Inside Shot Success - 림 바로 밑에서 들어가는 슛의 성공확률에 대한 항목(30을 놓았다고 골밑슛이 30%를 유지하는 것이 아닙니다.)
Close Shot Success – 페인트존 안에서 던지는 슛의 성공에 대한 항목
Mid-range Success – 페인트존 바깥, 3점라인 안쪽, 통상적으로 퍼리미터라고 불리우는 곳에서의 슛의 성공에 대한 항목
3PT Success – 3점 성공률에 대한 항목
Layup Success – 레이업의 성공에 대한 항목
*이 레이업 성공확률은 디펜스 항목의 레이업 디펜스 강도(take off, release)와 맞물려서 상호 작용합니다.
Dunk In Traffic Freq – 골밑에 여러 사람이 몰려있을때 덩그클 시도하는 횟수에 대한 항목(높으면 그만큼 덩크를 더 많이 시도할겁니다.)
Dunk In Traffic Success – 이런 트래픽 상황에서의 덩크시도가 성공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항목
Pass Accuracy – 패스의 정확도(이 수치가 낮아지면 패스 미스가 많이 나게 됩니다.) 이 항목은 게임에서 매우 중요하며 볼핸들링,핸즈, 허슬플레이등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.
Alley-Oop Success – 앨리웁 성공에 대한 항목
Contact Shot Success – 수비와 부딛히는 컨택샷에 대한 항목(수치가 높으면 앤드원이 많이 나옵니다.)
Defense(수비항목)
Driving Contact Shot Frequency - 페네트레이션시에 수비와 컨택이 나며 슛이 일어나는 빈도
Inside Contact Shot Frequency - 골밑슛 시도시 컨택샷이 일어나는 빈도
Layup Defense Strength (Takeoff) - 레이업을 하러 들어갈때의 수비 강도(스텝을 밟으며 뜰 때까지)
Layup Defense Strength (Release) - 레이업의 점프 후에 같이 뜬 수비의 강도(공을 골대에 놓을때)
*이 레이업 항목은 수치로 작용을 합니다. 눈으로 보았을때 분명히 같이 뜬 수비수가 없고 주변에 서 있다고 해도 이 항목들이 높으면 이지 레이업이 미스가 날 확률이 있습니다.
실제 앞에서 같이 뜨지는 않았지만, 수치가 높으면 레이업의 수비에 연관이 있다고 게임엔진이 판단하기 때문입니다.
Jump Shot Defense Strength (Gather) -점프슛의 수비강도(공을 받고 슛을 쏘기위한 상황에서)
Jump Shot Defense (Release) - 점프슛의 릴리즈시 수비강도(릴리즈 시)
*이 또한 마찬가지로 수치로 작용합니다. 상대 수비수가 컨테스트를 하지 않아도 수비를 하고 있는 거리와 위치가 수치로 작용이 됩니다.
Help Defense Strength - 헬프디펜스 빈도 및 강도(바꿔맡기 강도)
Steal Success - 스틸 성공확률
Attributes(능력치)
Quickness – 선수움직임의 퀵니스와 관련된 항목입니다. 이 수치가 낮으면 선수를 좌우로 움직일때 전체적으로 무거우며 높을수록 빠릿빠릿해집니다. 높으면 아케이드 게임같이 변하므로 적절한 수치를 찾는것이 좋습니다. 이 항목은 선수의 플레이어 스피드와 관련이 있습니다.
Vertical – 선수의 서전트 점프 수치에 관련된 항목입니다. 높을수록 육안으로 보았을대 선수가 조금 더 높이 뜁니다. 이 항목은 블락과 관련이 있습니다.
Strength – 선수의 힘에 관련된 항목입니다. 통상 50을 높고 진행을 하실텐데요,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. 이 항목이 높아지면 포스트업시 밀리는 강도등에 영향을 미칩니다.
Stamina – 스태미너는 선수의 체력유지에 대한 항목이며 fatigue와 관련이 있습니다.
Player Speed – 선수의 스피드가 빨라집니다. 전체 게임스피드가 아니고 오로지 선수의 스피드가 빨라집니다.
*퀵니스와 플레이어 스피드와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요합니다. 개인적으로 이번 패치후에 퀵니스 40 + 플레이어 스피드 70 이렇게 하고 게임스피드를 41-42정도에 놓으니 좀 괜찮아 보였습니다.
Durability -선수의 내구도입니다. 이 항목이 높을수록 부상을 당할 위험이 줄어듭니다.
Hustle – 허슬 수치입니다. 중요한 항목인데요, 8년간의 슬라이더 작업을 하면서 느낀것은 허슬수치는 낮을수록 좋다. 라는게 제 지론입니다.
*단순히 허슬 플레이 하면 나가는 공을 멋있게 살려내고 이런 플레이가 더욱 나올까봐 수치를 높이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. 하지만 허슬 스탯에는 Fast break points가 관련되어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수치가 높으면 AI가 백코트하는 스피드가 높아집니다. 즉 실제와 같은 원활한 속공이 나오지 않게 되며 백코트 스피드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집니다.
고로 저는 25-35정도의 수치에서 타협을 봅니다.
Ball Handling – 볼핸들링 수치입니다. 드리블을 할때 수비의 푸시를 받았을때 드리블중 공을 잡는 경우도 있고, 공을 캐치할때 한번에 캐치받지 못할 확률도 있고, 빠른패스시에 공을 못받을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집니다. 이 항목은 낮으면 낮을수록 볼핸등링 개인 능력치가 좋은선수들이 빛을 발휘하게 되어있어서 저는 낮추는 편입니다.
Hands – 핸즈.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항목입니다. 이 핸즈는 정확하게 "DEFLECT THE PASS"라고 해서 패스를 손으로 쳐서 커트해내는 능력입니다. 이 항목은 패싱레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패싱레인이 높고 핸즈가 높으면 패스커트가 족족 이루어 집니다. 낮을수록 패스가 커트될 확률이 줄어듭니다.
Dunking Ability -선수의 덩크 능력치에 대한 항목
On-Ball Defense – 공을 가지고 있는 선수들에 대한 수비항목입니다. 수치가 높을수록 돌파가 어려워 집니다. 개인적으로 낮추는것을 선호합니다.
Stealing – 스틸에 대한 능력치. 스틸링은 스틸 석세스 항목과 연관이 있습니다. 둘 사이의 적절한 밸런스가 필요해요.
Blocking – 블로킹에 대한 능력치 항목입니다. 높을수록 블락이 더 잘 나와요.
Offensive Awareness - 공격 어웨어니스 항목입니다. 높을수록 오펜스시에 조금 더 똑똑해집니다.
Defensive Awareness – 수비 어웨어니스 항목입니다. 높을수록 수비를 조금 더 조직적으로 타이트하게 합니다.
Offensive Rebounding - 공격 리바운드 항목
Defensive Rebounding – 수비 리바운드 항목
Offensive Consistency - 공격 컨시스턴시. 이 항목은 연속되는 공격시에 골 성공률의 리듬이 얼마나 빠르게 좋아지는지에 대한 항목입니다. 이 수치가 높아지면 팀의 공격력이 쉽게 온파이어 상태로 녹아들며 특히 슈퍼스타들이 슛 몇개만으로도 온 파이어 상태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
Defensive Consistency - 수비 컨시스턴시. 위와 반대로 수비의 리듬이 얼마나 빠르게 좋아지는지에 대한 항목입니다.
Fatigue Rate – 피로도. 59정도가 좋다고 생각이 듭니다.
Tendencies(빈도) - 빈도는 AI의 움직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며 전 항목이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. 단순 수치조정으로는 체감을 느끼기가 조금 어렵습니다.
Take Inside Shots - 인사이드슛을 쏘는 빈도
Take Close Shots – 클로즈슛을 쏘는 빈도
Take Mid-range Shots – 퍼리미터 레인지에서 슛을 쏘는 빈도
Take 3PT Shots – 3점슛을 쏘는 빈도
Post Shots – 포스트 슛을 쏘는 빈도
Attack The Basket - 골대로 페네트레이트(드리블을 치면서 속칭 골대를 향해 비비는) 하는 빈도
Look For Post Players – 포스트 플레이어에게 공을 전달해주는 빈도
Throw Alley-Oops - 앨리웁을 던지는 빈도
Attempt Dunks – 덩크를 시도하는 빈도
Attempt Putbacks – 풋백을 시도하는 빈도
Play Passing Lanes – 패스길목에서 수비를 하는 빈도
Go For On-Ball Steals – 공을 가지고 있는 선수에게 스틸을 시도하는 빈도
Contest Shots - 상대가 슛할때 블로킹을 뜨는 빈도.(수치가 높을수록 잘 속거나 잘 뜹니다.)
Backdoor Cuts – 백도어컷 플레이를 하는 빈도
Fouls(파울항목)
Over the Back Foul - 리바운드 경합시에 뒤에서 방해하는 파울의 빈도
Charging Foul - 오펜스 파울의 빈도
Blocking Foul - 수비자 블로킹파울의 빈도
Reaching Foul - 스틸시 등의 리칭파울 빈도
Shooting Foul - 슈팅파울 빈도
Loose Ball Foul - 루즈볼 상황시의 파울 빈도